[스포주의] 고블린 슬레이어 외전2 악명의 태도 中 리뷰 -고블린은 안 나온다-
중급 스포일러, 개인적인 해석 주의
이 작품은 본편으로부터 10년 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주인공은 특이하게 '당신(君)'이라는 이름으로 지칭되며, 창을 쓰는 여전사, 하프 엘프 척후, 주인공의 육촌이자 마법사 종누이, 미르미돈(개미 수인) 승려, 그리고 10년 후 물의 도시에서 검의 처녀로 칭송받고 있는 여주교와 파티를 짜고 미궁 탐색을 벌인다는 이야기를 그려간다. 이들은 사실 좋게 보면 혼돈의 시대에 세상을 어지럽히는 마신들을 타도하기 위해 [죽음의 미궁]에 몰려드는 모험가들 중 하나고 좀 거식하게 표현하면 먹고살기 위해 몰려온 모험가라 할 수 있다. 그러니까 거창한 건 없다는 것이다. 본편은 주인공이 어느 정도 성장한 상태로 이야기를 이끌어 가지만 이번 외전에서 등장인물들은 처음부터 시작한다. 혼돈의 시대답게 죽음은 늘 곁에 있고, 오늘 보이던 모험가가 내일은 보이지 않는 일이 흔하다. 주인공 일행은 죽음의 미궁에 내려가 마물을 쓰러트리고 재물을 얻고 성장을 거듭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미궁 밑바닥에 있다는 마신을 쓰러트리는 걸 목표로 하게 된다.
上권에서 주인공은 혼자 쓸쓸히 살아가는 여주교를 영입했다. 이때의 여주교는 이미 첫 모험에 실패하여 크나큰 상처를 안고 있다. 그녀는 고블린이라고 하면 치를 떨고 두려워한다. 그럼에도 그녀는 미궁의 도시에 있다. 지금은 이 길 밖에 없으니까. 그녀의 인생을 말하는 대목은 가슴을 먹먹하게 하기도 한다. 하지만 외전에서는 고블린은 거의 나오지 않아 불안에 떠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 것이 하나의 다행으로 다가온다. 그럼에도 트라우마는 그녀의 정신을 갉아먹고 있었고, 미궁을 탐색하는데 있어서 약간의 걸림돌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런 그녀를 여전사와 종누이가 헌신적인 보살핌으로써 그녀로 하여금 다시 걷게 해주게 된다. 주인공은 그녀의 과거를 묻지도, 동정하지도 않는다. 그저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옆에 내가 있다는 안심감을 그녀에게 심어주게 되면서 일어설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준다. 어느덧 웃을 수 있게 된 그녀에게서 잔잔한 여운을 느끼게 해준다. 암흑과 죽음투성이인 이 작품에서 주인공과 히로인들이 서로 의지하며 보살피는 모습은 또 하나의 흥미 포인트가 되겠다.
착실한 모험으로 이제는 어느 정도 소문이 났다. 유명세라는 거다. 미궁을 공략하는 최일선 파티를 바짝 쫓아가면서 실력에도 어느 정도 자신감이 붙게 된다. 하지만 아직은 솜털이 뽀송한 초보자들이라는 건 사실이다. 미궁 저층에서 이들을 반겨주는 건 대량의 슬라임이다. 베어도 베어도 끝이 없고, 사람을 오물투성이로 만들어 버리는 통에 고블린보다 더한 트라우마를 심어주게 된다. 그래서 시종일관 슬라임을 경계하는 이들의 모습은 제법 유쾌하게 다가온다. 초반은 이렇게 긴장감 없이 흘러간다. 그러다 주인공은 방심이라고 해야 할까, 아니면 실력이 늘어서 자만을 했던 것일까. 정신은 차렸는데 함정에 빠져서 죽을뻔하기도 하고, 다시 정신 차리고 진행하다가 이번엔 몬스터에게 '혼자' 호되게 당하게 되면서 있는 쪽 없는 쪽 다 까게 된다. 주인공의 수난 시대가 따로 없다. 어쨌거나 혼자 거의 죽기 직전까지 갔다가 되살아난 주인공에게 이것도 하나의 경험 아니겠나 싶다. 포기하지 않고 다시 파티를 꾸려 미궁으로 내려간다.
이 작품(외전)의 또 다른 흥미 포인트를 찾으라면 이것이다. 늘 죽음과 이웃하고 있으면서도 거기에 먹히지 않게 서로를 다독여 주고, 때론 놀리면서 긴장을 이완 시켜주려는 예를 들어 종누이가 입만 열었다 하면 누나 행세를 하며 주인공을 동생 취급하는 모습을 들 수가 있다. 그럴 때마다 주인공은 육촌 녀석이라며 발끈하게 되는데 이게 알콩달콩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여전사도 은근히 츤데레 같은 모습을 보인다. 주인공을 좋아하는데 티를 내지 않으면서 발끈하는 타입이랄까. 여주교는 아직 트라우마 때문인지 잘 녹아들지 않는다. 하지만 종누이와 여전사의 보살핌으로 차츰 나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스킬을 배우려는 자세에서 성장하는 캐릭터는 이런 건가 싶은 느낌을 들게 한다. 언제까지고 앉아 있을 수만은 없다는 강한 의지를 담아 자신의 발로 걸으려는 장면 장면들은 주인공 보다 더 눈부시다고 할 수 있다. 근데 미래에서 고블린 이야기가 나오면 경기를 일으키는 모습에서 지금의 모험은 말짱 꽝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이번 中권을 1,2부로 이야기를 나눠서, 1부는 주인공의 맨땅 헤딩을 그렸다면 2부는 여주교를 찾아오는 파티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어째서 여주교는 주인공이 거둬들이기 전까지 미궁 도시에서 혼자 생활하고 있어야 했는가. 보살핌에는 두 종류가 있다고 이 작품은 이야기한다. 하나는 너무 소중해서 상처받지 않게 혼자 놔두는 것, 하나는 세상 밖으로 대려 나와 자신의 발로 세계를 여행하게 하면서 위기가 닥치면 같이 싸워주는 것. 새장의 새는 보호받는 것보다 세상을 꿈꾸게 된다. 보다 자유로운 삶을 원하고, 내 스스로 걷고, 위험은 내 스스로 지켜가는 것, 찾아온 이들은 여주교의 옛 파티들이다. 이제 걸음마를 떼며 세상 밖으로 나오려는 여주교를 다시 자신들의 파티로 데려가려는 옛 파티들의 이기심을 담담히 그려간다. 당사자 여주교는, 지켜주고 보호받는 것보다 자신의 발로 걷는 길을 택한다. 한번 그렇게 정한 마음은 그녀에게 망설임을 없게 한다. 성장이라는 틀에서 보자면 그녀의 성장은 상당히 인상적이다.
맺으며: 고블린은 언급은 되는데 안 나온다. 트라우마를 안겨주는 건 슬라임이다. 어쨌거나 외전2는 여주교를 바탕으로 해서 그녀의 성장과 인간관계를 그려간다. 파티를 위해 밤낮으로 마법을 배우고, 전선에서 자신의 몫을 다해 가는 모습들이 상당히 인상적이다. 지도 작성을 배워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하는 것도 인상적이고, 미궁에서 파티가 길을 잃지 않게 여러모로 노력하는 모습도 인상적이다. 그런 여주교를 살갑게 대해주는 종누이와 여전사도 인상적이고. 주인공은 내색하지 않지만 마음에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가는 그녀의 곁에서 묵묵히 말을 들어주고 고블린 슬레이어처럼 그런가 등등 단답형식으로나마 공감해주게 되면서 그녀를 지지해주는 등 사람의 유대란 이런 건가를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미래에서 주인공은 없는 걸 보니 여주교의 짝사랑으로 끝나지 않을까도 싶다. 아무튼 착실하게 성장하는 정도의 길을 이 작품은 보여준다. 위기에 빠지기도 하고, 연계를 펼쳐 그걸 떨쳐내면서 성장해가는 모험의 정석 같은 게 이 작품이다.
'라노벨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주의] 흑의 소환사 3권 리뷰 -1년 8개월만의 귀환, 죽은줄 알았던 남편이 살아 돌아 왔다- (0) | 2021.09.10 |
---|---|
[스포주의] 신화 전설이 된 영웅의 이세계담 2권 리뷰 - 이래서 첫인상이 중요한 것이다- (0) | 2021.09.07 |
[스포주의] 리빌드 월드 1권(上) 리뷰 -누군가에게 놀아나도 성장 할수만 있다면- (0) | 2021.08.26 |
[스포주의] 전생 왕녀와 천재 영애의 마법 혁명 1권 리뷰 -하늘 여행에 온 걸 환영해- (0) | 2021.08.22 |
[스포주의] 이세계 미궁의 최심부로 향하자 1권 리뷰 -소시오패스- (0) | 2021.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