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생처음 이성과 해보는 데이트(헤스티아는 인간이 아니니 무효.)

 

다가오는 여신제(축제)에서 데이트 하자는 편지가 벨에게 도착한다. 상대는 주점 풍요의 여주인에서 서빙하는 '시르'가 되겠다. 여기까지만 언급해도 드디어 '시르' 복선이 회수되는 건가?라고 하실 텐데 맞다. 근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필자는 이제까지 리뷰를 쓰면서 몇 번의 위기를 맞곤 했는데 이번에는 정말로 큰 위기가 아닐 수 없다. 왜냐면, 이미 '시르'의 정체는 99% 밝혀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데다 이걸 밝히지 않으면 리뷰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여기서 밝히자니 저어되는 게 밝혔다간 특대 스포일러라고 마구 까일 것은 자명하고, 은근 독자층이 두꺼운 상황에서 스포일러를 했다간 대차게 까이면 필자는 살아날 가망이 없다. 

 

아무튼 시르의 데이트 공격을 받은 벨은 평소 그녀에게서 호의 받은 것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응하게 된다. 근데 이것만으론 이야기가 진행되지 않을뿐더러 이것만 가지고 돈 받고 도서로 낸다는 건 날로 먹는 것이기에 작가도 큰 마음먹고 스토리 하나를 끝내려나 했나 보다.

 

근데 그냥 끝내진 않는다. 이런 이야기에 누군가가 난입하지 않는다면 팥 없는 찐빵이라는 듯 초장부터 사람 헷갈리게 만드는 두 가지 시선을 넣어서 독자로 하여금 혼란하게 만든다고 할까. 그렇게 벨과 시르의 데이트 이야기는 진행이 된다. 하지만 쑥맥인 벨이 여성을 리드하면서 데이트를 이끌어 가기는 무리가 아닐 수 없다. 그래서 '마스터'라고 불리는 1급 모험자(말해두지만 '아이즈'는 아니다)의 도움이라 쓰고 스파르타 교육을 받게 되는데 이게 또 가관이다. 마스터는 츤데레에다 피도 눈물도 없는 마치 사자가 새끼를 낭떠러지에 떨어트려 올라오는 새끼마저도 다시 떨어트리는 냉혈한이다. 근데 정은 또 있어서 미워할 수 없는 부분이 포인트다. 이렇게 정신 개조를 받고 당일 시르와 데이트를 즐기는데 내가 즐기는 게 즐기는 것이 아니야는 두말할 필요도 없다.

 

도시에서 주목받고 있는 신인이 데이트를 한다는데 주변인들은 그걸 두고 볼 위인들이 아니기에 파란을 불러오는 건 자명한 것이다. 헤스티아는 마치 집 나간 아들 찾는 것마냥 정신줄을 놓고, 릴리는 얼굴이 파래지고, 류는 못난이가 되고, 아이즈는 갈팡질팡한다. 더욱 흥미진진해지는 건 시르의 정체다. 이쯤 오면 작가는 이제 숨길 마음도 없다. 대놓고 뉘 집 자식인지 99% 까발려 버린다. 그러해서 마치 귀족 규슈를 호위하는 마냥 호위꾼들이 달라붙는데 데이트가 제대로 될 리 있나. 거기에 시르는 아무도 없는 곳으로 도망가자고 부추기지. 여자 면역이 없는 벨군은 그녀의 살결에 심장이 콩닥콩닥. 여기까지라면 여느 데이트물 처럼 풋풋한 이야기일 것이다. 하지만 이미 시르의 정체에 대해 거의 다 밝혀져 있는 상황에서 시르가 정말로 벨을 좋아하는가?라는 문제점이 떠오른다.

 

'외전 '프레이야'를 읽은 독자라면 시작부터 시르에 대해 어느 정도 눈치챌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니 16권 읽기 전에 외전 '프레이야'를 먼저 읽으면 벨이 왜 노림 받는지 대한 이유와 시르의 정체도 거의 명확하게 확인이 가능할 것이다. 이 말은 16권을 읽고 개연성이 부족하다고 느낄 수 있어서 필자 나름대로의 어드바이스다. 어쨌거나 그러해서 핑크빛으로 끝나야 될 데이트가 핏빛 장미로 끝이 나니 작가가 얼마나 마음 독하게 먹었는지 여실히 알 수 있었다.

 

일방적인 마음은 파탄만 불러올 뿐...

 

이번 16권에서 눈여겨봐야 될 것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벨의 마음이다. 사실 주변에 여성이 많아도 이제까지 벨이 여성에게 먼저 좋아한다며 엉겨 붙은 경우는 전혀 없다. 그러던 것이 던전에서 어떤 여성을 만나게 되면서 이후  여성만 바라본다는 것이다. 이번에 일편단심이라는 눈물 나는 모습도 보인다. 다만 그것이 마음에서 우러나는 이성에 대한 갈망이라기 보다 동경에서 우러나는 갈망이고 그것이 호감이라는 것은 아직 알지 못한다. 그러해서 벨은 시르의 대시를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즉, 벨이 의식하는 여성은 시르가 아니라는 뜻이다. 고자라면 고자 일 수 있으나, 벨도 이성과의 관계(성 지식)를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다. 사실 벨은은 주변과의 파탄을 피하려고 관계를 가지지 않는 거라 할수 있는데 주변과의 단절을 벨은 뭣보다 두려워한다는 걸 알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두 번째: 시르의 마음이다. 어느 날부터 벨이 신경 쓰이면서 마음을 키워 왔는데 그녀 시르의 겉모습만 본다면 정말로 애틋한 사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녀의 진짜 정체의 시각에서 본다면 벨을 이성으로서가 아닌, 이 부분도 외전 '프레이야'에서 잘 나타나 있는데 집착이 낳은 아집이다. 즉, 시르는 일방통행식으로 벨에게 대시 중이고 이런 그녀의 마음을 알았다기보다 벨은 주변과의 파탄을 우려해 그녀를 멀리하게 되지만 이게 불에 기름을 끼얹는 결과로 이어진다. 그러니까 일방통행식 마음은 파탄만 불러올 뿐이라는 거다. 시르는 끝까지 이런 점들을 깨닫지 못한다. 결국 남은 건 무력뿐이고 17권에서 파란으로 끝나지 않을 누군가가 죽을 만큼 심각한 이야기로 발전하지 않을까 하는 그런 이야기를 이번에 내포하고 있다.

 

여기서부턴 다른 이야기. 데이트 중인데 전혀 어울리지 않는 영웅 이야기를 왜 가미한지는 모르겠으나 영웅 이야기가 꽤 나온다. 아이즈의 조상부터 해서 어쩌면 시르와도 안면이 있을 영웅까지 들추던데 아무튼 여봐란 듯이 복선을 투하한다. 그야 이 작품은 영웅으로 시작해서 영웅으로 귀결되기 때문이기도 할 텐데 벨이 그 영웅이 되지 않을까 하는, 그런 복선을 별책부록에 대놓고 실어 놨다. 재판 구매하는 사람은 어쩌라고, 어이 상실.

 

맺으며: 휴... 시르 정체 밝히지 않고 끝낼 수 있어서 다행이다(먼산). 아무튼 데이트로 시작해서 데이트로 끝나는 이야기다. 다만 끝맺음은 100년 묵은 식초를 먹는 듯했다. 끝난 게 아니라 이제부터가 시작이라는 듯 17권부터는 대파란을 불러오지 않을까 하는 복선을 투하하면서 기승전결은 개나 줘버린다. 벨의 입장에서는 원만한 해결로 끝을 맺으나 상대방은 누구 마음대로 끝내하는 분위기다. 주인공으로서는 완벽한 대응이지만 상대가 좋지 않았다. 누구도 말리지 못하는 광녀(狂女)라는 점에서 다음에도 또 벨은 [파밀리아] 브레이커가 되지 않을까 싶다. 그건 그렇고, 류가 제대로 망가지는 모습을 보인다. 데이트하는 시르와 벨을 보고 못난이 구닥다리 엘프가 되어 짐짝 취급 당하는 게 여간 웃긴 게 아니다. 아무튼 간에 벨의 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이야기였다고 할까. 이 작품도 끝이 멀지 않은 듯하다.

 
블로그 이미지

현석장군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084)
라노벨 리뷰 (926)
일반 소설 (5)
만화(코믹) 리뷰&감상 (129)
기타 (19)